특집ㆍ기획 >
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
'한자 모르면 생활 불편' 2002년 70% → 2014년 54% → 2022년 46%
한글과 한자 '섞어 써야 한다' 44%, '한글만 써야 한다' 48%
 
김상수 기자   기사입력  2022/10/07 [14:14]



한국갤럽은 지난 4~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,002명에게 한자를 모를 때 생활의 불편함 정도를 물은 결과(4점 척도) '매우 불편하다' 10%, '어느 정도 불편하다' 36%, '별로 불편하지 않다' 35%, '전혀 불편하지 않다' 15%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.

 

즉, 우리나라 성인 중 절반은 '한자를 모르면 불편하다'(46%), 나머지 절반은 '한자를 몰라도 괜찮다'(51%)로 갈렸다.


2002년 조사에서는 '한자를 모르면 불편하다'는 사람이 70%에 달했으나, 2014년 54%, 2022년 46%로 감소했다.


교육수준별 차이가 없고, 그 외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별 경향성도 두드러지지 않는다.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한글 전용 정책을 펴 지금까지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있다.


현재 50대 이하는 대부분 한자 없는 교과서로, 60대 이상은 한자 있는 교과서로 학습한 세대다. 이로 미루어 볼 때 한자 지식의 있고 없음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집단별 특성보다 개인차에 따른 것으로 짐작된다.

 



한글과 한자 '섞어 써야 한다' 44%, '한글만 써야 한다' 48%


한글과 한자 사용에 관해서는 '한자를 섞어 써야 한다' 44%, '한글만 써야 한다' 48%로 비슷하게 갈렸고 8%는 의견을 유보했다.


2002년과 2014년 조사에서는 열 명 중 여섯 정도가 한자 병용을 답했으나, 이번 조사에서는 기류가 바꿨다. 한글 전용 주장은 2002년 33%, 2014년 41%, 2022년 48%로 늘었다.


선행 질문과 마찬가지로 한자 병용·한글 전용 사안에서도 응답자 특성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. 한자를 모르면 생활이 불편하다고 보는 사람(461명) 중에서는 54%가 한자 병용을, 한자를 몰라도 괜찮다는 사람(507명) 중에서도 35%는 그에 동의했다.


한자 병용 이유는 뜻·의미 전달 용이성, 한자도 우리 문자나 마찬가지 / 한글 전용 이유는 한자 습득 부담, 한글 고유성과 우수성 등


한글과 한자를 섞어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(441명, 자유응답) '뜻·의미 전달/이해 도움'(38%), '고유 문자/쭉 사용해왔기 때문'(27%), '간결/함축적 표현'(8%), '순우리말 표현 부족/익숙하지 않음'(7%), '혼동 방지/동음이의어 때문'(4%), '문화 교류/중국 등 관계', '교육/학습/세대 간 소통'(이상 3%) 등을 답했다.


한글만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 이유로(480명, 자유응답) '한자 모름/어려움/교육 부담'(35%), '우리말/고유 언어/한글 지켜야 함'(22%), '한글로 충분/한자 불필요'(17%), '이해하기 쉬움/손쉽게 알아봄'(9%), '편리함/간단함'(8%), '시대가 바뀜'(3%) 등을 언급했다.

 



초중등 과정 한자 교육 '필요하다' 78%, '필요하지 않다' 19%


초중등생 한자 교육에 관해서는 78%가 '필요하다', 19%는 '필요하지 않다'고 봤다. 3%는 의견을 유보했다.


한자를 몰라도 괜찮다는 사람, 한글 전용 주장자를 비롯해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초중등 한자 교육 필요성에는 뜻을 같이했다.


참고로, 2022년 5월 기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전체 올림말 422,890개 중 한자어가 56%를 차지하고, 고유어는 18%, 나머지는 혼종어(21%)와 외래어(6%)로 이뤄져 있다. 2014년 조사에서는 한국인 절반가량(48%)이 한자를 '우리나라 글자'로 봤고('외국 글자' 47%), 2002년 조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.

 



● 당장 불편함 없고 한글만 쓰더라도 기본 한자는 알아야


20년 전에는 71%가 한자를 모르면 불편하다고 느꼈지만, 지금은 45%로 줄었다. 같은 기간 그들의 한글 전용 의견은 29%에서 47%로 늘었다. 그런데도 절대다수가 한자 교육은 필요하다고 본다.


60대뿐 아니라 다른 연령대도 마찬가지다. 모든 이가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접하는 시대를 맞아 한글·한자에 관한 인식 또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비슷해졌다.


이상의 결과를 간추리면 '당장 불편함 없고 한글만 쓰더라도 기본 한자는 알아야 한다' 정도가 되겠다.


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% 신뢰수준에 ±3.1%포인트이며, 응답률은 11.9%였다.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.
 

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
기사입력: 2022/10/07 [14:14]   ⓒ 대전타임즈
 
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
내용
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,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 
광고
인기기사목록  
 
 
광고
광고